중학교의 평가 제도는 초등학교보다 더 세밀하며 절대평가로 진행합니다. 정기적인 시험과 수행평가 점수를 합친 점수를 1의 자리를 반올림하였을 때의 점수로 평가하며 A-B-C-D-E-F로 90점대는 A, 80점대는 B등급과 같이 성적이 부여되고, 내신 평가 등급을 지정합니다.
학부모들의 입학 경쟁을 해소하고자 박정희 정부 시절 중학교 입학시험이 폐지하였으며 랜덤으로 선발하는 추첨방식으로 변경되면서 중학교의 대부분은 평준화되었습니다. 하지만 소위 서울 8학군으로 불리는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과 소득이 낮은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학업, 성적 및 능력 차이는 상당히 있습니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중학교는 대부분 남녀가 같이 다닐 수 있는 남녀 공학이나 아직 일부 중학교는 남학생, 여학생만 다닐 수 있는 단성학교가 남아 있습니다. 학생들이 이성에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성취도가 향상된다고 생각하는 부모들 때문에 남녀공학에서 단성학교로 아주 가끔 바뀌기도 했습니다만 최근에는 거의 없습니다.
사교육을 받는 중학교 학생들은 전체 학생들의 2/3 이상이며, 약 39만 원을 월평균 사교육비로 사용합니다. 사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은 학원, 과외이며, 학생들이 공부하는 사교육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 3과목입니다. 한 가정당 10%가량 사교육비로 자녀들을 위해 지출합니다. (300~400만원 소득인 경우 25.3만원 사교육비로 지출)
자유학년제
학생 참여 수업과 더불어 다양한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자유 학년제라는 것이 중학교 1학년 2학기 동안 운영할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16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되어 자유학기제가 시행되었고 18년부터 자유학년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기간에는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실시하지 않습니다. 학교생활은 아일랜드의 학년제를 수정하여 만들었으며 과정은 크게 오전에는 교과수업을 진행하며 오후에는 자유 학기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뉩니다. 자유 학기 활동 종류는 예술, 체육활동, 진로 탐색, 동아리 활동, 연구 활동 등으로 구성됩니다.
고등학교
한국의 고등학교는 3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16세~19세 동안 학업에 집중하며 학교급식은 무상이 아닌 유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부 특수 고등학교(과학고등학교)에서는 조기졸업 제도가 있어 1학년 일찍 졸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등학교부터는 남학교, 여학교로 되어있는 단성학교가 상당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성적 제도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9등급제로 되어 있으며, 학기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수행평가를 합하여 등급을 상대평가로 매깁니다. 내신과 학생부가 대학 입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등학교 학생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스트레스를 지속해서 받고 있습니다. 정규수업이 끝나면 일부 학생들은 야자라고 불리는 야간자율학습을 진행합니다. 일부 특수목적고등학교에서는 새벽까지 자율학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강제적으로 진행하는 야간자율학습을 금지하였으나 아직도 많은 학교와 부모들은 야자를 강제하며 학생들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전체 고등학교 학생들은 64.6%,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은 71.3%는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사교육비용은 평균 42만 원가량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종류에 따라 교육과정이 천차만별이며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고, 자율형 사립/공립고, 특수목적고, 외고, 과학고, 예술고, 체육고, 국제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대안학교, 특수학교, 방송통신고, 산학 일체형 도제학교 등이 있습니다
일반고등학교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며 일반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일반고등학교는 한국에서 총 2300개의 고등학교 중 1500개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보통/전문 교과로 나뉩니다. 평준화 지역은 지원 후 추첨 방식, 비평준화 지역은 내신 성적과 선발고사 성적으로 학생을 뽑습니다. 학비는 연평균 2~300만원으로 나옵니다. 중점학교는 예술, 과학 체육학교가 있습니다. 과학 중점학교에서는 교과목 이수 단위를 과학, 수학으로 9/20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학 과목 외에 물리, 화학 실험, 심화 수학 3과목을 추가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과학 중점과정학급에 속한 학생들에게만 해당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급 간에 위화감이 생길 수 있어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일반 학급에는 기초, 심화 과정 역시 들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진로 집중과정은 규모, 지역에 맞춰서 직업, 예체능, 외국어에 따라서 특정 분야의 과정을 꾸릴 수 있는 과정입니다. 대한민국의 현재 교과목들은 정형화되며 획일화 되어 있어 이를 탈피하기 위해 교과목 편성을 보다 학생들이 진로를 자유로이 탐색하여 그 효율을 높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