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교육

대한민국의 중학교 역사

by 소고기브로콜리 2023. 1. 11.
300x250

한국의 중학교는 고등학교와 함께 중등교육 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총 3년의 과정으로 중학교는 구성되어 있으며 이루어지며, 이전 교육과정 단계인 초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받은 교육을 기반으로 더욱 심화하여 깊은 교육을 하며, 초등학교 교과 과정을 마치고 졸업한 학생이나 법으로 지정된 사람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것과 동일한 학력으로 보이는 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과정은 의무교육 기간으로 모든 국민은 교육받아야 하며 초등학교와 함께 교육을 이수할 의무를 집니다.
중학교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성인을 위해 중학교 교육이나 직업교육을 받게 해주는 고등공민학교가 있었습니다. 수업은 1년에서 3년이며 수업 연한은 1~3년이며 초등학교·공민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역사
대한제국 시절, 광무 3년 4월 4일 선포되었습니다. 광무 4년 10월 4일에는 중학교 개교기념일에서 중학교라고 불렀다. 한국의 중학교는 20세기 중반 49년에 만들어진 교육법에 의해 학제 중 두 번째 과정인 중학교 교육으로 불리었습니다. 하지만 중학교 교육은 1960대에 본격적으로 실시되었으며(한국 전쟁, 4·19 혁명 이전까지 혼란의 시기가 이어짐) 박정희 정부의 공약 중 하나인 68년에 중학교 입학 시 시험제도가 폐지되면서 혼란이 줄어들었습니다. 입학제도 폐지의 원인으로 불리는 1964년 무즙 파동 자연과학 시험이나 1967년 미술 시험인 창칼 파동이 입시 문제의 대표적인 문제라고 뽑힙니다. 전두환 정부 시절인 85년에는 일부 낙후된 산간지, 낙도, 수복지구, 접적 지구, 광산지구를 대상으로 무상 의무교육제가 시행되었으며 김영삼 대통령 재임기인 문민정부 시절 94년에는 읍내와 면 지역에 시행되었으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인 참여 정부 04년에는 모든 지역과 관계없이 실시하였습니다.
개설 목적
일본 강점기가 끝나고 해방 이후 보인 교육인구의 급격한 증가, 취학률 증가, 학교의 양적 질적 증가의 결과는 교육의 대중화가 되었으며 모든 국민이 받을 수 있는 균등화, 최대한 많은 교육이 만들어지는 대량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에서부터 중학교 교육 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까지 보인 이러한 현상은 특히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에서 잘 나타났으며 많은 이유로 인하여 이러한 현상이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의무교육제도
이승만 정부 시절 49년 12월에 교육법이 생겨나면서 초등학교는 의무교육제로 실시하였으며 중학교 교과과정은 보편화라는 목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이는 중학교 교육의 보편화로 인하여 고등학교 교육의 보편화로 이어졌으며, 국가의 경제 능력이 형편없어 전국적으로 실시가 되지는 않았지만, 조선시대 말부터 중학교 의무교육제도가 법제화되어온 것을 계승하여 보편화된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과 과정을 마친 학생이 전부 중학교 과정으로 진학하는 것은 아니며 중학교를 마친 학생들의 경우는 고등학교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교육받는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들은 교육의 필요를 점차 느끼게 되고 학생들 또한 스스로 자극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의무교육의 실시로 점차 확대되며 보편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박정희 정부 시절인 69년에 시행된 중학교 무시험 제도와 74년에 행하여진 고교 연합고사실시는 중등교육 입시제도의 개혁으로 이어지며 진학률을 빠르게 상승시키는 영향을 끼쳤습니다. 중학교 교육 과정의 정상화를 위해 고등학교 연합고사 실시, 학교 입학을 추첨제로 변경하여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사교육으로 인한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감을 완화,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을 주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으나 사학의 자주성을 해치거나 국민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사회의 영향
예로부터 이어진 교육열은 한국의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국민들의 소득수준을 매우 빠르게 향상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예로부터 교육에 대한 열정이 엄청나게 높았습니다. 왜냐하면 교육의 양이 삶을 바꿀 수 있으며 교육의 기회는 사회를 이해하며 사회의 복리 수혜라는 생각이 닿았기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교육을 잘 받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것이 사회의 계층 이동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여기며 교육이란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확실하게 보장해 주는 요인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교육의 양적 팽창을 가져온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예로부터 교육이라는 것은 지배계급의 상징과도 같은 것이었기 때문에 가난을 대물리고 싶지 않은 의미도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아이를 통해 자기가 하지 못한 보상심리 또한 강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교육열은 60년대 이후 초고속 성장의 결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급격히 발산되었습니다, 하지만 급격하게 발달하면 어두운 부분이 나타나면서 과열화, 탈선화라는 것으로 이어졌습니다.
산업화의 영향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인력은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화의 과정에서 크게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한국은 경제개발 5개년의 실시에 따라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생산직에서도 중학교 교육 과정을 마친 학생들과 전문적인 기술·기능을 가진 인력을 점차 필요로 하게 되었고 중등, 고등 교육은 필수적인 취업 조건이 되어 이는 교육의 양적·질적 확대를 낳았습니다. 또 하나의 원인으로 인구의 증가를 들 수 있습니다. 단지 인구의 증가는 취학률과 관계없어 보이지만 교육인구의 수가 늘어나며 교육의 양적인 증가해야 하는 절대적 요인이 됩니다. 교육의 질적, 양적인 증가는 이상적이며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교육은 재정, 환경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등교육 3년을 의무교육제도로 일부만 시행하였던 것은 일반 고등학교의 무리한 확대와 직업교육이 없어서 취업률이 증가하고 재수생 또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300x250